반응형
깃헙에서 리포지터리 생성
GitHub 세팅
리포지터리는 저장소 역할을 합니다. 만든 리엑트앱이 업로드 되기전 리포지터리가 생성되있어야합니다. 깃헙에 들어간후, 새로운 리포지터리를 만들어주세요.
이제 리포지터리 이름을 만들어준후, public이나 private 설정후 확인을 눌러주시면 Github에서 세팅은 끝납니다.
만들어주면 리포지토리 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제 리포지토리의 url을 복사해주세요.
Visual Studio Code
터미널을 열어줍니다. 이제 Visual Studio Code에서 방금 생성해줬던 repository로 업로드하라고 명령해주어야합니다.
먼저 git init을 입력해준후
git remote add origin [리포지터리 주소] 를 해주시면 업로드할 리포지터리가 어디인지 인식합니다.
Terminal을 통하여 GitHub에 코드 업로드
아래 코드를 하나씩 터미널에 넣어주세요 터미널을 여는 방법은 [command + shift + P] 입니다.
그리고 다시 깃헙에 들어가보시면 폴더가 그대로 업로드 된것을 확인 할수있습니다.
Github Clone
라이브러리나 예시 코드를 react에 불러와야할때 클론으로 github에 올라와있는 코드를 불러올수있습니다.
먼저 Command shift P 를 눌러 아래 와같은 윈도우를 열어준후 git clone을 쳐주시면
url을 넣는 창이 나옵니다. 여기에 원하는 리포지터리에 url을 넣어주시면 클론이 시작됩니다.
반응형
'개발공부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Deploy React App Using Heroku (0) | 2022.04.25 |
---|---|
[React] API 불러오기 (0) | 2022.03.23 |
[React] class component와 state 활용- 라이프 사이클, React.Component (0) | 2022.03.20 |
[React] map 활용 (0) | 2022.03.19 |
[React] react 앱을 만들기전 셋업 (0) | 2022.03.18 |